국어교육과는 중등학교 국어교과의 교수· 학습을 수행하는 교원을 양성한다는 구체적인 목적지향의 학과인 만큼 국어교육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교육방법론적 기능을 연마하여 탁월한 교사의 역량을 구비하도록 하는 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또한 국어에 관련된 교과내용적 지식의 이해와 습득은 물론이며, 교과교육의 이론적 체계와 교육공학적인 실기를 획득하도록 함과 아울러 인성적 자질을 두루 갖출 수 있도록 교과를 구성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국어교육과는 국어교육의 바탕이 되는 국어에 관련된 일반론적인 지식으로서 국어학과 문학의 균형 있는 학습을 꾀하며, 교육학과 접합된 교과교육의 이론과 방법론에 대한 이해와 실제를 겸비한다. 또한 단순히 중등학교 교원의 자격을 취득하는데 머물지 않고, 국어와 문학의 학문적 소양의 심화와 교사적 인성을 도야하는 다양한 프로그램과 교육현장에서의 실습을 통해 우수한 수준의 국어교사를 배출해오고 있다. 따라서 국어교육과는 역량 있는 국어국문학 연구자인 동시에 국어를 교육할 수 있는 유능한 국어교사이며 품위 있는 교육학자로서의 자질을 함양하게 하여, 지식과 인성과 기능을 통합한 교육전문가를 양성하고자 하는 목표를 지향하고 있다.
국어교육과에서는, 듣기·말하기·읽기 ·쓰기·국어지식·문학을 교육할 수 있고, 국어를 통해 바람직한 가치 형성의 교육을 실현하는 교육자를 양성하기 위한 교수·학습을 목표로 한다. 국어교육의 21세기는 지성과 감성이 조화를 이룬 창의적인 인간을 요청하고 있다. 즉 21세기는 단순히 세기의 변환이 아니라 밀레니엄(millennium)적 변환을 의미한다.
이에 대비하기 위한 교육은
목표 차원에서 건전한 인성과 창의성을 함양하는 기초·기본 교육의 충실,
내용 차원에서 세계화·정보화에 적응할 수 있는 자기 주도적 능력의 신장,
운영 차원에서 학습자의 능력·적성·진로에 적합한 학습자 중심의 교육 실천,
제도 차원에서 지역 및 학교 교육 과정의 편성 운영에 대한 자율성 확대, 그리고
연구 차원에서 교수 ·학습과 심도 있게 연계된 적절한 평가 방법에 관한 이론적 연구 및 시행 능력과
교육 심리학적 전문가 양성 등이 필수적이다. 이는 정보 사회 및 지식 사회로 표현하는 21세기에 세계 속의 중심 국가로 우뚝 서기 위한 신교육 체제의 수립이라는 국가 · 사회적 요구를 반영한 것이다. 국어교육학은 종래의 교사 중심의 주입식 교수 방법으로부터 탈피하여 정보화 사회에 적합한 매체 이용 학습법과 학습자 중심의 토론 학습방법으로 발전해 가고 있다. 국어 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은 Computer Technology의 발달과 더불어 다양한 교수법이 개발되었다. 특히 국어교육을 위한 WBI(Web-Based Instruction), CAI (Computer-aided instruction), CNA(Communication Network Architecture),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CAL(Computer Aided Learning), CBT(Computer Based Training) 등을 교수 · 학습 방법으로 활용하는 연구가 발전을 보이고 있다. 또한 원거리 화상 교육, Computer Exploration, Simulation, Jigsaw Cooperated Learning, Mapping Construction, Discovery Learning 등 수없이 많은 새로운 교수법 및 학습 이론이 등장하고 있다.
소정의 교육과정을 이수하면 중등학교 국어 교과를 담당할 수 있는 '중등학교 국어 2급 정교사' 자격증을 취득하게 되며, 따라서 국공립 및 사립학교의 유능한 중등학교 국어교사의 직무를 수행할 수 있는 등 교육계의 중추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국어교육을 담당하는 교사로서 구비해야 할 심화된 교과지식을 습득하는 동시에 국어국문학 전반에 걸친 학문적 성과를 바탕으로 대학원으로 진학하여 소정의 연구과정을 거치면서 유능한 국문학 연구자로서 연구기관이나 대학 강단 등에서 국어교육학 및 국어국문학 분야의 학자로 활동할 수도있다. 국어교육의 주요한 한 갈래인 문학 영역의 학습을 통해 풍부한 문학적 교양과 창작적 소양과 작가적 기량을 연마하여 시, 소설, 희곡, 시나리오, 평론 등 다양한 장르에 걸친 전문 작가로서 문필활동을 할 수도 있으며, 각종 대중매체의 리포터나 구성작가, 카피라이터 등 특정적인 언어기능을 발휘하는 전문인으로 활동할 수도 있다. 또한 국어교과와 관련한 지식을 구비함으로써 국어전문학원과 보습학원 등의 국어강사로 활동할 수 있으며, 각종 전문학습지의 교재 개발과 편집자로 활동할 수도 있을 뿐 아니라 여러 사회교육센터 등에서 논술, 독서, 창작, 화술 등을 교육할 수 있는 전문 교육자가 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다양한 교육과정을 통해 학습되고 개발된 국어교육학 내지 국어국문학의 자질과 소양에 따라 신문·방송·출판매체의 기자 및 편집인 등 언론인으로 활동할 수도 있으며, 그 밖에 복수전공 이수를 통한 외국어나 연극영상학 등과 관련된 전문적 지식과 기능을 구비하면 번역 및 통역, 연극영화의 연출·연기 등의 분야에도 진출할 수도 있다.